[김필수의 오토컬처]BMW 차량 화재의 최종 진실 파악은 정부의 몫
[김필수의 오토컬처]BMW 차량 화재의 최종 진실 파악은 정부의 몫
  • 이슈인팩트
  • 승인 2018.09.05 12: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

[이슈인팩트=자동차전문가 김필수 교수] BMW 차량의 화재가 연속 발생하고 있다. 이제는 기존 디젤승용차에서 가솔린 차량으로 확대되는 추세이다. 최근 공청회를 거쳐 경찰의 압수수색도 있었다. 각종 의혹과 늦장 리콜에 대한 정황이 나타나고 있고 머지않아 청문회 등도 예상되고 있다.

지난 1개월 여 동안 차량 화재로 초미의 관심 사안은 이제 정부로 넘어가고 있다. 이미 BMW에서 언급하던 EGR 쿨러라는 하드웨어적인 부품의 결함은 각종 의혹과 드러나는 자료를 통하여 본질과는 거리가 있다는 정황도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BMW 본사에서 기술진이 방문하여 개최했던 기자회견도 결국 엔지니어링 측면에서 궁색한 변명으로 일관하였고 설득력이 많이 부족한 이유여서 더욱 문제점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제 모든 사안에 대한 답은 결국 정부로 넘어갔다고 할 수 있다. 이제 본격적인 진검 승부인 2회전으로 진입했다.

필자는 1달여 동안 각종 팩트를 언급하면서 국토교통부의 운행 자제 결정은 물론 민관조사단 구성 등을 항상 언급하였다. 특히 국토교통부 단독이 아닌 EGR 등의 경험이 많은 환경부 산하 전문가의 합류도 권장하였다 이미 각 부서의 리콜로 인한 사각지대가 확인되어 더욱 합류의 필요성은 커졌다고 할 수 있고 공청회에서도 주된 화제였다고 할 수 있다. 각종 의문이나 문제점도 언론을 통하여 모두 제시된 만큼 실질적인 역할이 중요해졌고 그 역할은 결국 정부가 담당하여야 신뢰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여러 면에서 앞으로의 고민은 더욱 커졌다고 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지금의 BMW 리콜 방법이 틀리다는 것을 입증해야 한다는 것이다. 절대로 BMW 본사에서는 현재의 주장을 철회하지 않을 만큼 끝까지 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폭스바겐 디젤게이트 당시에도 미국의 결정적인 증거인 스모킹 건을 찾은 다음 폭스바겐에서 인정할 만큼 차량의 설계상의 결함 등은 절대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EGR 부품과 함께 알고리즘인 소프트웨어의 조사도 병행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원인 파악을 중요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미 EGR 관련 각종 부품인 밸브와 쿨러, 바이패스 등의 변경은 수시로 있었고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던 만큼 엔진과 함께 설계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미 팩트로 제시된 쿨러의 한계와 바이패스의 과대한 활용은 물론 DPF와의 연동 등 여유 설계가 없는 정황은 많다고 할 수 있다. 결정적 단서 확보는 쉽지 않을 수 있는 만큼 더욱 심혈을 기울여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민간의 역할은 한계가 크다는 것이다. 장비나 시험기간은 물론 체계적인 실험 등 다양성 측면에서 단편적 실험에 그치는 만큼 결정적인 단서는 결국 정부의 역할과 체계적인 실험을 통해 밝혀야 한다는 것이다. 이미 시장에서는 각종 기자회견 등을 통하여 과도하거나 비현실적인 의견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으나 정부에서 각종 내용 중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팩트를 정리하여 결정적 단서를 찾을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세 번째로 국토교통부의 민관조사단의 역할이다. 이미 조사단 명단을 구성하여 본격 활동을 하겠지만 각종 고민도 많다고 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환경부 등 분야별 최고의 전문가가 조성되어 제대로 된 활동보다는 구색 갖추기에 연연하고 생색내기에 올 인한다면 결국 이 문제는 영원히 묻힐 수 있다는 것이다. 일선에서 나오는 각종 정보를 잘 정리하여 과시하지 말고 겸손하게 진정성 있는 조사가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동시에 환경부도 산하기관을 활용하여 조사를 했으면 한다는 것이다. 이미 이번 9월부터 실도로에서의 환경검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만큼 시장에서 운영되는 리콜 대상 BMW 차종을 대상으로 전문 장비를 얹어 신고된 배출가스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EGR 밸브 등 각종 부품의 동작 특성도 함께 연동하여 확인한다면 국토부 민관조사단과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민관조사단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놓칠 수 있는 요소를 확인하는 크로스 체크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네 번째로 이제는 BMW 본사와의 진검승부가 시작되는 만큼 자존심 싸움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BMW에서 언급하던 내용대로 그냥 끝난다면 국내 자동차 기술의 한계성과 정부의 신뢰성 측면에서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 시장에 대한 변방 시장으로 간주되는 아픔을 계속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더욱이 BMW 피해자 모임에서 미국이나 독일에 시험을 의뢰하자고 할 만큼 우리를 못 믿는 문화도 있는 만큼 자존심 싸움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미 칼은 뽑은 만큼 제대로 된 마무리로 국민적 불안감을 해소시켰으면 한다는 것이다.

잘못하면 내년 여름 폭염 때 같은 연속 BMW 차량 화재가 발생한다면 국민들께 심각한 불신과 함께 모든 책임을 묻게 된다는 것을 확실히 인지했으면 한다. 정부의 책임이 무겁다는 얘기다.

▷ 김필수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대림대 교수)

※ 외부 필자의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